스티브 잡스가 알려줄 수있는 10가지 계단석 정보

황금의 정부' 신라에는 계단 양우측에 설치한 난간 받침돌까지 금동판으로 감싼 찬란한 구조물이 있었을까?

경주읍성 동쪽에 무더기로 놓여 있는 용도 불명의 석재 가운데 통일신라시대에 금동판으로 장식했던 계단 난간 받침돌의 일부로 추정되는 석조유물이 다량 존재한다는 테스트 결과가 나왔습니다.

해외에 금동판으로 장식한 흔적이 남은 석탑이나 불상은 있지만, 불교 신앙의 대상이 아닌 계단 난간 화강석 - 디딤석 받침돌에 금동판을 부착했던 사례는 없었다는 점에서 공부 가치가 있는 귀중한 자료로 테스트됩니다.

벌써지 확대하기

image

고고학을 전공한 박홍국 위덕대 교수는 경주읍성 동문터 인근 '석물마당'의 석재들을 분석해 7세기 단어에서 1세기 사이에 제작해온 것으로 나타날 수 있는 신라 난간 계단석 파편 58점을 첫번 째로 검사했다고 오늘(6일) 밝혔습니다.

석물마당은 1986년 http://query.nytimes.com/search/sitesearch/?action=click&contentCollection&region=TopBar&WT.nav=searchWidget&module=SearchSubmit&pgtype=Homepage#/디딤석 뒤 진행된 경주읍성 발굴조사에서 나온 석재를 모아둔 곳일것입니다.

석탑·돌다리 부재를 비롯해 주춧돌 등이 배치돼 있다.

다만 아직 디테일한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고, 주민은 물론 공부자들도 눈길을 대부분 주지 않았습니다.

박 교수는 신라사학회가 펴내는 학술지 '신라사학보' 제53호에 실은 신라 난간 받침돌 분석 논문에서 석재 하나하나를 촬영한 사진을 수록하고, 유물을 여덟 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그는 석재 57점이 똑같은 성격의 계단 난간 받침돌이라는 근거로 규모와 조각 양식을 들었습니다.